목록으로

공개 5과 추가지문(기본) 제작 완료
문장
반*왕
2024-09-07 18:16:34

제작된 시험지/답지 다운로드
전체 파일 한번에 다운로드 하기
개별 파일 다운로드 및 미리보기

설정
시험지 제작 소요 포인트: 0 포인트
(순서 고정) 빈칸 시험지 세트 수 1포인트/50문장,1세트 10
(순서 고정) 스크램블 시험지 세트 수 1포인트/50문장,1세트 10
(순서 고정) 영작 시험지 세트 수 1포인트/50문장,1세트 1
(순서 고정) 해석 시험지 세트 수 1포인트/50문장,1세트 1
(순서 랜덤) 종합 시험지 세트 수 및 문항 수 1포인트/50문장,1세트 0
문장 (27개)
# 영어 문장 한국어 해석
문장 1
"You look great in that!
"그 점에서 당신은 멋져 보여요!
문장 2
So skinny!"
너무 말랐어!"
문장 3
I'm sure you've heard that type of comment in any situation where two or more women are present.
두 명 또는 그 이상의 여자가 모이는 상황이라면 이런 유형의 말을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문장 4
The ultimate compliment – so skinny!
최고의 칭찬 – 너무 말랐어요!
문장 5
When I hear this, it's usually tinged with just a little bit of envy.
이 말을 들으면 보통 약간의 부러움이 물씬 풍깁니다.
문장 6
Social psychologists have a name for this.
사회심리학자가 이런 현상에 이름을 붙였다.
문장 7
In the 1954, Leon Festinger called it the social comparison theory.
1954년 Leon Festinger는 이런 현상을 사회 비교 이론이라 불렀다.
문장 8
According to him, it's human nature to base our own self worth on how the people around us are doing.
그에 따르면, 주변의 사람들이 어떻게 하는지를 바탕으로 자신의 자아 존중감을 형성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다.
문장 9
The strange exception to this rule is women and body image.
이상하게도 이 규칙에 예외인 것은 여성과 신체 이미지이다.
문장 10
When we compare ourselves to unrealistic beauty ideals that we see in magazines or in person, we keep trying to meet those ideals, even if deep down we know it's impossible.
우리가 잡지에서 보는 미의 비현실적인 이상향을 자신과 비교할 때, 우리는 그것이 불가능한지를 알면서도 그 이상향에 따라가려고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문장 11
My theory is that Festinger could never have predicted this, because he lived before the age of streaming Internet and color screen TVs.
내 이론은 Leon Festinger가 이것을 전혀 예측하지 못했으리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인터넷이나 컬러 TV가 나오기 전에 살았으니까.
문장 12
The good citizens of Nadroga, Fiji, were completely naive to American media in 1995.
피지에 사는 선량한 시민들은 1995년에 미국의 대중 매체에 관해 몰랐다.
문장 13
That's when the first television sets were brought into the region.
텔레비전이 최초로 그 지역에 들어온 때였다.
문장 14
Some researchers (Becker, Burwell, Herzog, Hamburg, and Gilman, 2002) took a look at what happened next, and it was frightening.
몇몇의 조사자들이 다음에 어떤 현상이 벌어질지를 살펴봤다.
문장 15
Before the introduction of TV, the native Fijians thought that robust and curvy women were beautiful, and they saw no need for dieting.
TV가 소개되기 전, 피지 사람들은 풍만한 여성들이 아름답다고 생각했고, 다이어트의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못했다.
문장 16
The rate of bulimia?
폭식증의 비율?
문장 17
Zero.
영.
문장 18
Three years later, most of the population had TVs, and 74% of the people surveyed said they felt "too big or fat" at least some of the time.
3년 뒤, 대부분의 사람들이 TV를 가지게 되었고 74%의 사람들이 스스로 크거나 뚱뚱하다고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문장 19
And 11.3% of those said they vomited in order to lose weight.
그리고 그 중 11.3%의 사람들은 살을 빼기 위해 토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문장 20
A total of 77% of those who were surveyed stated that television had influenced their body image, and many articulated that they wanted to look more like Western television characters.
조사한 사람들의 77%는 텔레비전이 자신의 신체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서구의 텔레비전에 나오는 인물을 닮고 싶다고 답했다.
문장 21
The citizens of Nadroga had learned to feel disgust at the very bodies that they found acceptable before the media images infiltrated their minds.
Nadroga 시민들은 미디어 이미지가 만연하기 전에는 받아들일만하다고 여겼던 신체를 혐오스러워하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문장 22
In our current culture, we can't always control the images that flash before our eyes.
현시대에 우리는 우리 눈앞에 나타나는 이미지를 항상 통제할 수는 없다.
문장 23
We can, however, control whether we choose to let the media and advertisers tell us which characteristics are attractive.
하지만 우리는 미디어나 광고주가 말하는 매력을 선택할지 말지는 통제할 수 있다.
문장 24
Next time you feel like commenting on someone's dress size, try looking a little bit deeper, and saying something that is truly meaningful.
이후 당신이 누군가의 드레스 크기를 이야기하고 싶을 때, 조금 더 깊은 내면을 보도록 하고 진실로 의미 있는 것을 말하도록 해 보자.
문장 25
"You look radiant with joy!"
"당신은 기쁨으로 빛나고 있네요."
문장 26
"You seem so confident right now?"
"당신은 지금 아주 자신감이 있어 보이네요."
문장 27
This Independence Day, let's give ourselves a break from the cycle of comparison, and relax in our skin, cellulite, and all.
이 독립기념일, 비교의 고리를 끊고 우리는 피부와 셀룰라이트, 그 외 모든 것에 느긋해지자.

Copyright © 지인북스.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등록번호 415-92-01827 | 통신판매신고 2024-대전유성-1240 | 대표: 김유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화원로 13 | 고객센터: 010-4829-2520

이용 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